아(어,여)
前面不能加時制詞尾。
1)用于動詞,表示前一動作是后一動作的情態(tài),這時前一動作與后一動作同時進行或前一動作雖已完了,但所形成的狀態(tài)在進行后一動作時仍保持著。兩個動作與同一主體發(fā)生關(guān)系。如:
아버지는 의자에 앉아 신문을 보신다. 爸爸坐在椅子上看報。
할머니는 침대에 누워 시십니다. 奶奶躺在床上休息。
저녁때는 보통 온 가족이 상 주위에 둘러앉아 식사를 합니다.
吃晚飯時,一般是全家人圍坐在飯桌周圍共時晚餐。
*表示情態(tài)的“아(어,여)”與“고”的區(qū)別:
①用“고”表示情態(tài),總是含有先后順序的關(guān)系,即先進行甲動作,再進行乙動作。這就使甲動作與乙動作的界限比較分明。如:
우산을 들고 간다. 打著雨傘走。(先舉起雨傘)
우리 둘은 손을 잡고 학교로 걸어갔다.
我們手拉著手向?qū)W校走去。(先拉著手)
“아(어,여)”則往往與后一動作結(jié)合在一起,界限不分明。如:
아이가 기어 마당으로 갔다. 小孩爬到院子里去了。
어머니를 따라 외가로 갔다. 跟著母親去外婆家。
因此,“아(어,여)”就能把兩個動詞緊密地連接在一起,甚至構(gòu)成一個動詞。如:
둘러싸다包圍、일어서다站起、뛰어오르다跳上、동어매다纏捆、들어오다進來、나아가다前進
②“고”更著重于表示情態(tài);而“아(어,여)”則著重于表示如何處置客體對象。
책을 가지고 온다. 帶著書來了。(來的方式)
책을 가져 온다.把書帶來。(如何處置書)
正
誤
손을 잡고 간다 拉著手去。
손을 잡아간다.
지팽이를 짚고 온다. 拄著拐杖來。
지팽이를 짚어온다.
2)用于動詞,表示連貫,即在進行了甲動作的基礎上再進行乙動作。而乙動作又隱含有是進行甲動作的目的的意思。這時兩動詞與同一主體發(fā)生關(guān)系。如:
그는 북경을 떠나 상해로 갔다. 他離開北京去上海了。
언니는 죽을 쑤어 앓는 동생에게 먹이었다.
姐姐熬了粥喂害病的妹妹吃了。
*表示連貫的“아(어,여)”與“고”的區(qū)別:
“고”單純表示甲乙兩動作在時間上一先一后;而“아(어,여)”不僅表示甲乙兩動作一先一后,而且甲動作是乙動作的前提,乙動作是進行甲動作的目的。如:
밥을 먹고 가시오. 吃了飯再走。
집을 떠나 학교로 갔다. 離家去學校。
우리는 병원에서 동생을 보고 돌아왔다.我們在醫(yī)院里看了弟弟回來了。
우리는 병원에 가 동생을 보았다. 我們?nèi)メt(yī)院看弟弟了。
3)用于謂詞,表示兩事相接,前一事是后一事的原因、根據(jù)。它的特點是:
(1)作為原因的前一事實一般是既成事實;
(2)用它表示原因的句子不能是命令句、共動句,它只用于陳述句、疑問句中;
(3)它表示原因的語氣不很強,主要是在說了甲事的基礎上,順勢說出作為結(jié)果的乙事,話著重在結(jié)果。如:
오늘은 바쁜 일이 있어 밖에 나가지 않겠어요.今天很忙,不到外邊去了。
그는 꾸준히 노력하여 큰 성과를 얻었다. 他很努力,因而取得很大成績。
아는 것이 없어 걱정입니다. 什么都不懂,很擔憂。
그 산은 너무 높아 오르기가 힘들겠다. 那山太高,爬起來會很吃力。
그는 몸이 아파 못 오겠다고 한다. 他說病了,還能來了。
지금까지 진행된 정형으로 보아 문제는 쉽게 해결돌 것 같다.
從現(xiàn)在的情況來看,問題好象能容易地解決。
4)表示目的,即前一行動是后一行動的目的。用于動詞。如:
경화가 오기를 기다려 좀 늦게 가겠습니다.
為了等京花來,我要晚去一會兒。
많은 외국손님들은 우리 나라를 방문하여 북경에 왔다.
許多外國客人到了北京,訪問我國。
5)表示前一行動由后面的敘述來評價。用于動詞。如:
이만하면 공연에 내놓아 손색이 없겠습니다.
到這程度,拿出來公演也毫無遜色。
일찍 잠을 깨어 버릇해서 이제는 더 잘래도 잘 수 없다.
醒得早,這已成了習慣,現(xiàn)在再想睡也睡不著了。
이미 늦었는데 지금 가 무슨 소용 있소?已經(jīng)晚了,現(xiàn)在去有什么用?
6)表示動作進行的時間。如:
출장갔던 왕선생이 오래지 않아 돌아올 것이다.
出差的王先生不久就要回來。
네가 나간후 조금 있어 옥순이가 왔다갔다.你出去后不久,玉順來過了。
7)用于動詞,表示該動作由后面的敘述來總計時間。如:
조국을 떠나 30년이 되었다. 離開祖國已經(jīng)三十年了。
학교에 입학하여 사흘째 되는 날이다. 入學第三天。
8)用于很多形容詞及部分動詞,把它們與“보이다”連接起來,表示“看起來(怎樣)”的意思。如:
어디가 불편해요?안색이 나빠보여요.哪兒不舒服?氣色看起來很不好。
그는 퍽 힘꼴이나 있어보인다. 他看起來很有力氣。
나이가 마흔이지만 아주 늙어보인다.年紀雖是四十,看起來很老。
얼굴에 웃음을 담뿍 담은 그 애는 아주 귀여워보인다.
那孩子滿臉帶笑,看起來很可愛。
9)“아(어,여)”后還能連接輔助動詞,構(gòu)成合成謂語。如:
나도 좀 하여보자. 我也來干干看。
우리는 사전에 계획을 면밀히 세워가지고 일에 착수했다.
我們事前作好周密的計劃,然后著手工作。
前面不能加時制詞尾。
1)用于動詞,表示前一動作是后一動作的情態(tài),這時前一動作與后一動作同時進行或前一動作雖已完了,但所形成的狀態(tài)在進行后一動作時仍保持著。兩個動作與同一主體發(fā)生關(guān)系。如:
아버지는 의자에 앉아 신문을 보신다. 爸爸坐在椅子上看報。
할머니는 침대에 누워 시십니다. 奶奶躺在床上休息。
저녁때는 보통 온 가족이 상 주위에 둘러앉아 식사를 합니다.
吃晚飯時,一般是全家人圍坐在飯桌周圍共時晚餐。
*表示情態(tài)的“아(어,여)”與“고”的區(qū)別:
①用“고”表示情態(tài),總是含有先后順序的關(guān)系,即先進行甲動作,再進行乙動作。這就使甲動作與乙動作的界限比較分明。如:
우산을 들고 간다. 打著雨傘走。(先舉起雨傘)
우리 둘은 손을 잡고 학교로 걸어갔다.
我們手拉著手向?qū)W校走去。(先拉著手)
“아(어,여)”則往往與后一動作結(jié)合在一起,界限不分明。如:
아이가 기어 마당으로 갔다. 小孩爬到院子里去了。
어머니를 따라 외가로 갔다. 跟著母親去外婆家。
因此,“아(어,여)”就能把兩個動詞緊密地連接在一起,甚至構(gòu)成一個動詞。如:
둘러싸다包圍、일어서다站起、뛰어오르다跳上、동어매다纏捆、들어오다進來、나아가다前進
②“고”更著重于表示情態(tài);而“아(어,여)”則著重于表示如何處置客體對象。
책을 가지고 온다. 帶著書來了。(來的方式)
책을 가져 온다.把書帶來。(如何處置書)
正
誤
손을 잡고 간다 拉著手去。
손을 잡아간다.
지팽이를 짚고 온다. 拄著拐杖來。
지팽이를 짚어온다.
2)用于動詞,表示連貫,即在進行了甲動作的基礎上再進行乙動作。而乙動作又隱含有是進行甲動作的目的的意思。這時兩動詞與同一主體發(fā)生關(guān)系。如:
그는 북경을 떠나 상해로 갔다. 他離開北京去上海了。
언니는 죽을 쑤어 앓는 동생에게 먹이었다.
姐姐熬了粥喂害病的妹妹吃了。
*表示連貫的“아(어,여)”與“고”的區(qū)別:
“고”單純表示甲乙兩動作在時間上一先一后;而“아(어,여)”不僅表示甲乙兩動作一先一后,而且甲動作是乙動作的前提,乙動作是進行甲動作的目的。如:
밥을 먹고 가시오. 吃了飯再走。
집을 떠나 학교로 갔다. 離家去學校。
우리는 병원에서 동생을 보고 돌아왔다.我們在醫(yī)院里看了弟弟回來了。
우리는 병원에 가 동생을 보았다. 我們?nèi)メt(yī)院看弟弟了。
3)用于謂詞,表示兩事相接,前一事是后一事的原因、根據(jù)。它的特點是:
(1)作為原因的前一事實一般是既成事實;
(2)用它表示原因的句子不能是命令句、共動句,它只用于陳述句、疑問句中;
(3)它表示原因的語氣不很強,主要是在說了甲事的基礎上,順勢說出作為結(jié)果的乙事,話著重在結(jié)果。如:
오늘은 바쁜 일이 있어 밖에 나가지 않겠어요.今天很忙,不到外邊去了。
그는 꾸준히 노력하여 큰 성과를 얻었다. 他很努力,因而取得很大成績。
아는 것이 없어 걱정입니다. 什么都不懂,很擔憂。
그 산은 너무 높아 오르기가 힘들겠다. 那山太高,爬起來會很吃力。
그는 몸이 아파 못 오겠다고 한다. 他說病了,還能來了。
지금까지 진행된 정형으로 보아 문제는 쉽게 해결돌 것 같다.
從現(xiàn)在的情況來看,問題好象能容易地解決。
4)表示目的,即前一行動是后一行動的目的。用于動詞。如:
경화가 오기를 기다려 좀 늦게 가겠습니다.
為了等京花來,我要晚去一會兒。
많은 외국손님들은 우리 나라를 방문하여 북경에 왔다.
許多外國客人到了北京,訪問我國。
5)表示前一行動由后面的敘述來評價。用于動詞。如:
이만하면 공연에 내놓아 손색이 없겠습니다.
到這程度,拿出來公演也毫無遜色。
일찍 잠을 깨어 버릇해서 이제는 더 잘래도 잘 수 없다.
醒得早,這已成了習慣,現(xiàn)在再想睡也睡不著了。
이미 늦었는데 지금 가 무슨 소용 있소?已經(jīng)晚了,現(xiàn)在去有什么用?
6)表示動作進行的時間。如:
출장갔던 왕선생이 오래지 않아 돌아올 것이다.
出差的王先生不久就要回來。
네가 나간후 조금 있어 옥순이가 왔다갔다.你出去后不久,玉順來過了。
7)用于動詞,表示該動作由后面的敘述來總計時間。如:
조국을 떠나 30년이 되었다. 離開祖國已經(jīng)三十年了。
학교에 입학하여 사흘째 되는 날이다. 入學第三天。
8)用于很多形容詞及部分動詞,把它們與“보이다”連接起來,表示“看起來(怎樣)”的意思。如:
어디가 불편해요?안색이 나빠보여요.哪兒不舒服?氣色看起來很不好。
그는 퍽 힘꼴이나 있어보인다. 他看起來很有力氣。
나이가 마흔이지만 아주 늙어보인다.年紀雖是四十,看起來很老。
얼굴에 웃음을 담뿍 담은 그 애는 아주 귀여워보인다.
那孩子滿臉帶笑,看起來很可愛。
9)“아(어,여)”后還能連接輔助動詞,構(gòu)成合成謂語。如:
나도 좀 하여보자. 我也來干干看。
우리는 사전에 계획을 면밀히 세워가지고 일에 착수했다.
我們事前作好周密的計劃,然后著手工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