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처음 만들어질 때, 세종은 이 문자의 이름을 ‘훈민정음(訓(xùn)民正音)’이라고 정했다. “백성을 가르치는 데 사용할 바른 소리(글자)”라는 뜻이다. 그러나 당시의 양반 사대부들은 한글이라는 문자의 출현을 별로 달갑게 생각하지 않았고,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젖어 있었기 때문에, 한자와 한문에 비해 한글을 낮잡아 보는 태도가 팽배해 있었다. 그래서 한자/한문은 ‘진서(眞書(shū))’라고 부르고 한글은 ‘언문(諺文)’이라고 흔히 불렀다. 그리고 한글을 주로 부녀자들이 사용했다고 해서 ‘암클’이라고 불렀다거나 아직 한문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고 해서 ‘아햇글’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암클’이나 ‘아햇글’ 같은 명칭이 역사 기록에 분명히 남아 있지 않아 실제로 쓰였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다.
韓文剛剛發(fā)明的時(shí)候,世宗大王將其命名為“訓(xùn)民正音”(훈민정음),意思是“教給百姓學(xué)習(xí)的正確發(fā)音(文字)”。然而由于長(zhǎng)期受到以中國(guó)為中心的世界觀影響,當(dāng)時(shí)的兩班貴族對(duì)新出現(xiàn)的韓文不以為意,對(duì)韓文偏見(jiàn)態(tài)度強(qiáng)烈。所以,那時(shí)候人們把漢字叫做“真書(shū)”(진서),把韓文成為“諺文”(언문)。那時(shí)候韓文主要是婦女們使用居多,一時(shí)被稱(chēng)為“女字”(암클);直到現(xiàn)在,韓文學(xué)得不太好的小孩子們寫(xiě)的字還被叫做“小兒文”(아햇글)。然而“女字”和“小兒文”之類(lèi)的別稱(chēng)在歷并無(wú)記載,實(shí)際上是不是這么寫(xiě)已經(jīng)無(wú)從考證了。
그러다가 개화기에 이르러 민족정신에 대한 각성이 일어남에 따라 우리 민족 고유의 문자인 한글의 가치도 높이 평가하게 되어 ‘정음(正音)’, ‘국문(國(guó)文)’ 등의 명칭도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우리 민족의 글에 ‘한글’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붙여서 사용한 사람은 주시경인 듯하다. 주시경은 개화기에 우리 말과 글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힘쓴 사람인데, ‘한나라글, 한나라말, 한말’ 등의 용어도 일찍부터 사용하였다.
后來(lái)到了開(kāi)化期,為了弘揚(yáng)民族精神,覺(jué)醒的國(guó)民認(rèn)識(shí)到我們固有文字的價(jià)值,使用了“正音”(정음)、“國(guó)文”(국문)這樣評(píng)價(jià)更高的名稱(chēng)。第一個(gè)使用“한글”這個(gè)名稱(chēng)的人據(jù)說(shuō)是周時(shí)經(jīng)。開(kāi)化期時(shí)代,周時(shí)經(jīng)對(duì)我國(guó)文字懷著與眾不同的熱忱進(jìn)行了不遺余力的教學(xué)與研究,“한나라글, 한나라말, 한말”等稱(chēng)呼也是那時(shí)候由他發(fā)明的。
韓文剛剛發(fā)明的時(shí)候,世宗大王將其命名為“訓(xùn)民正音”(훈민정음),意思是“教給百姓學(xué)習(xí)的正確發(fā)音(文字)”。然而由于長(zhǎng)期受到以中國(guó)為中心的世界觀影響,當(dāng)時(shí)的兩班貴族對(duì)新出現(xiàn)的韓文不以為意,對(duì)韓文偏見(jiàn)態(tài)度強(qiáng)烈。所以,那時(shí)候人們把漢字叫做“真書(shū)”(진서),把韓文成為“諺文”(언문)。那時(shí)候韓文主要是婦女們使用居多,一時(shí)被稱(chēng)為“女字”(암클);直到現(xiàn)在,韓文學(xué)得不太好的小孩子們寫(xiě)的字還被叫做“小兒文”(아햇글)。然而“女字”和“小兒文”之類(lèi)的別稱(chēng)在歷并無(wú)記載,實(shí)際上是不是這么寫(xiě)已經(jīng)無(wú)從考證了。
그러다가 개화기에 이르러 민족정신에 대한 각성이 일어남에 따라 우리 민족 고유의 문자인 한글의 가치도 높이 평가하게 되어 ‘정음(正音)’, ‘국문(國(guó)文)’ 등의 명칭도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우리 민족의 글에 ‘한글’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붙여서 사용한 사람은 주시경인 듯하다. 주시경은 개화기에 우리 말과 글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힘쓴 사람인데, ‘한나라글, 한나라말, 한말’ 등의 용어도 일찍부터 사용하였다.
后來(lái)到了開(kāi)化期,為了弘揚(yáng)民族精神,覺(jué)醒的國(guó)民認(rèn)識(shí)到我們固有文字的價(jià)值,使用了“正音”(정음)、“國(guó)文”(국문)這樣評(píng)價(jià)更高的名稱(chēng)。第一個(gè)使用“한글”這個(gè)名稱(chēng)的人據(jù)說(shuō)是周時(shí)經(jīng)。開(kāi)化期時(shí)代,周時(shí)經(jīng)對(duì)我國(guó)文字懷著與眾不同的熱忱進(jìn)行了不遺余力的教學(xué)與研究,“한나라글, 한나라말, 한말”等稱(chēng)呼也是那時(shí)候由他發(fā)明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