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저어
停頓詞
주저어라고 하는 것은 발화 도중이나 대화 도중에 말할이가 무엇을 말할 것인지 망설이면서 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단어 ‘머뭇말’을 가리킨다. 입말에서는 주저어가 쓰이는 일이 비교적 많으나 글말에서는 절대로 쓰임이 없다.
之所以叫做停頓詞,是因?yàn)樵谡f(shuō)話的途中,不知道該說(shuō)什么而有所猶豫 ,為了填補(bǔ)話語(yǔ)的空白部分,于是使用非格式體的詞匯“停頓詞”。在口語(yǔ)中“停頓詞”使用較多,在書面中則不使用。
例:
(1) [음], 전 잘 기억이 안 나는데요. (口語(yǔ))
나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書面語(yǔ))
(2) [저기], 나 오늘 할 일이 많아서 갈 수 없어.(口語(yǔ))
나는 오늘 할 일이 많아서 갈 수가 없다. (書面語(yǔ))
除此之外,“停頓詞”還包括 ‘저기요, 네,그 뭐냐, 거 뭐더라, 거시기. 에, 에또, 마...’等詞。
2.부가어
附加詞
부가어란 말할이가 어떤 특정한 의미를 첨가시키지 않으면서 들을이에 대한 어떤 태도를 드러내는 비격식적 단어인 ‘덧말’을 가리킨다.부가어는 입말에서 사람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글말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附加詞是話者不添加某種特定的意義,向聽(tīng)者表達(dá)某種態(tài)度時(shí)使用的詞匯。根據(jù)每個(gè)人使用習(xí)慣不同,有些人會(huì)使用,但也有人不用。書面語(yǔ)中不使用。
例:
(3)제가[요], 어제[요], 친구하고[요], 영화를[요], 보았는데[요], 그 영화는[요], 참 재미 있었어요.(口語(yǔ))
나는 어제 친구와 영화를 보았는데, 그 영화는 참 재미있었다.(書面語(yǔ))
(4)이건[말이야], 국산품인데[말이야], 질이[말이야], 아주[말이야], 좋다[ㄴ말이야].(口語(yǔ))
이것은 국산품인데 질이 아주 좋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 ‘글세, 좀, 말이지, 말입니다, 말이에요, 있지요...’等詞。
3.지소어
指少詞
지소어란 지시어 또는 관형사인 ‘이, 그, 저’가 ‘요, 고, 조’로 홀소리가 바뀐 것과 지시형용사인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와 지시부사인 ‘이렇게, 그렇게, 저렇게’ , 그리고 장소 대명사인 ‘여기, 거기, 저기’의 첫 음절의 소리가 ‘요, 고, 조’로 바뀌어 쓰이는 비격식적 단어인 ‘작은말’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지소어는 말할이가 어떤 지시 대상의 분량의 적음, 또는 지시대상의 불만, 얕잡음, 업신여김 등의 의도가 있을때에 사용되나 글말에서는 절대 사용되지 않는다.
指少詞是將指示詞或慣性詞 ‘이, 그, 저’가 ‘ 改變?cè)糇兂伞?#50836;, 고, 조’,并替代指示形容詞‘이렇다, 그렇다, 저렇다’和指示副詞‘이렇게, 그렇게, 저렇게’以及場(chǎng)所代名詞여‘기, 거기, 저기’的第一個(gè)音節(jié)的非格式體詞匯“短詞”。一般來(lái)說(shuō),指少詞在話者對(duì)聽(tīng)者表達(dá)對(duì)指示對(duì)象的不足、不滿、輕視、欺侮等意圖時(shí)使用,在書面語(yǔ)中不使用。
例:
(5) [요]친구가 꽤 까부는데(口語(yǔ))
[이/*요]작가는 고전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書面語(yǔ))
(6) [조런]놈은 그냥 두면 안돼(口語(yǔ))
[저러한/*조러한] 사태를 그냥 그대로 방치해 둘 것인가?(書面語(yǔ))
4.관용어
慣用詞
관용어란, 두 개 이상의 낱말로 구성된 말이면서 한 개의 낱말처럼 사용되는 단어로써 낱말의 고유한 의미의 총화가 아니라 제삼의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는 비격식적 표현인 ‘‘익은말’’을 가리킨다. 글말에서도 관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더러 있지만, 대체로 일반적인 표현으로 바뀌어 사용된다.
慣用詞是把兩個(gè)或兩個(gè)以上單詞組合成一個(gè)單詞,但是不使用其組合意義,而是使用另外的引申義,也叫做“熟語(yǔ)”。在書面語(yǔ)中慣用語(yǔ)雖然也使用,但是一般會(huì)轉(zhuǎn)化為一般詞匯后再使用。
(1) 강 사장은 고용 사장이기 때문에 [바지 저고리]야.(口語(yǔ))
강 사장은 고용 사장이므로, [실권이 없는 사람]이다.(書面語(yǔ))
(2) 자동차가 고장나면, 곧 [손을 보]아야 해.(口語(yǔ))
자동차가 고장나면, 즉시 [수리를 하]여야 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손이 크다, 입을 맞추다, 입이 짧다, 귀가 엷다, 치맛바람, 애먹다, 입이 싸다...’等詞。
5.비속어
俗語(yǔ)
비속어란 말씨의 순수함과 고상함을 더럽히는 저속하고, 상스러운 비천한 비격식적 단어인 ‘‘낮은말’’을 가리킨다.
俗語(yǔ)是指將純樸高雅的詞匯變得低俗粗鄙時(shí)所使用的非格式詞匯“卑語(yǔ)”。
(3) 그이가[뒈지]고 나서 세상이 많이 달라졌어.(口語(yǔ))
그이가[죽]고 나서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書面語(yǔ))
(4) 남의 돈을 몰래[꼬불치]면 안되지.(口語(yǔ))
남의 돈을 몰래[훔치]면 안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낯짝, 대갈통, 대가리, 마빡, 상판때기, 모가지...’等詞。
6.은밀어
隱語(yǔ)
은밀어란 어떤 특수한 사회적 집단이나 사회적 계층의 구성원들이 자기들끼리의 결속을 위해 남이 모르게 쓰는 일시적이고 비표준적이며 비격식적인 단어나 표현인 ‘‘변말’’을 가리킨다. 은밀어는 글말에서 일반적인 표현으로 바뀌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隱語(yǔ)是在特定的社會(huì)團(tuán)體中為了團(tuán)結(jié)成員,在團(tuán)體內(nèi)部使用的外人不知道的臨時(shí)的非標(biāo)準(zhǔn)式的詞匯。隱語(yǔ)在書面中會(huì)轉(zhuǎn)化為一般詞匯使用。
(5) 박 의원은 간통 사건으로 [빵깐]에 들어갔어.(口語(yǔ))
박 의원은 간통 사건으로 [교도소]에 들어갔다.(書面語(yǔ))
(6) 선생은 누구나 학생을 [조지]면 안되지.(口語(yǔ))
선생은 누구나 학생을 [때리]면 안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물 좋다, 콩밥 먹다, 은팔찌, 영계, 짭새, 킹카, 캡...’等詞。
停頓詞
주저어라고 하는 것은 발화 도중이나 대화 도중에 말할이가 무엇을 말할 것인지 망설이면서 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단어 ‘머뭇말’을 가리킨다. 입말에서는 주저어가 쓰이는 일이 비교적 많으나 글말에서는 절대로 쓰임이 없다.
之所以叫做停頓詞,是因?yàn)樵谡f(shuō)話的途中,不知道該說(shuō)什么而有所猶豫 ,為了填補(bǔ)話語(yǔ)的空白部分,于是使用非格式體的詞匯“停頓詞”。在口語(yǔ)中“停頓詞”使用較多,在書面中則不使用。
例:
(1) [음], 전 잘 기억이 안 나는데요. (口語(yǔ))
나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書面語(yǔ))
(2) [저기], 나 오늘 할 일이 많아서 갈 수 없어.(口語(yǔ))
나는 오늘 할 일이 많아서 갈 수가 없다. (書面語(yǔ))
除此之外,“停頓詞”還包括 ‘저기요, 네,그 뭐냐, 거 뭐더라, 거시기. 에, 에또, 마...’等詞。
2.부가어
附加詞
부가어란 말할이가 어떤 특정한 의미를 첨가시키지 않으면서 들을이에 대한 어떤 태도를 드러내는 비격식적 단어인 ‘덧말’을 가리킨다.부가어는 입말에서 사람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글말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附加詞是話者不添加某種特定的意義,向聽(tīng)者表達(dá)某種態(tài)度時(shí)使用的詞匯。根據(jù)每個(gè)人使用習(xí)慣不同,有些人會(huì)使用,但也有人不用。書面語(yǔ)中不使用。
例:
(3)제가[요], 어제[요], 친구하고[요], 영화를[요], 보았는데[요], 그 영화는[요], 참 재미 있었어요.(口語(yǔ))
나는 어제 친구와 영화를 보았는데, 그 영화는 참 재미있었다.(書面語(yǔ))
(4)이건[말이야], 국산품인데[말이야], 질이[말이야], 아주[말이야], 좋다[ㄴ말이야].(口語(yǔ))
이것은 국산품인데 질이 아주 좋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 ‘글세, 좀, 말이지, 말입니다, 말이에요, 있지요...’等詞。
3.지소어
指少詞
지소어란 지시어 또는 관형사인 ‘이, 그, 저’가 ‘요, 고, 조’로 홀소리가 바뀐 것과 지시형용사인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와 지시부사인 ‘이렇게, 그렇게, 저렇게’ , 그리고 장소 대명사인 ‘여기, 거기, 저기’의 첫 음절의 소리가 ‘요, 고, 조’로 바뀌어 쓰이는 비격식적 단어인 ‘작은말’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지소어는 말할이가 어떤 지시 대상의 분량의 적음, 또는 지시대상의 불만, 얕잡음, 업신여김 등의 의도가 있을때에 사용되나 글말에서는 절대 사용되지 않는다.
指少詞是將指示詞或慣性詞 ‘이, 그, 저’가 ‘ 改變?cè)糇兂伞?#50836;, 고, 조’,并替代指示形容詞‘이렇다, 그렇다, 저렇다’和指示副詞‘이렇게, 그렇게, 저렇게’以及場(chǎng)所代名詞여‘기, 거기, 저기’的第一個(gè)音節(jié)的非格式體詞匯“短詞”。一般來(lái)說(shuō),指少詞在話者對(duì)聽(tīng)者表達(dá)對(duì)指示對(duì)象的不足、不滿、輕視、欺侮等意圖時(shí)使用,在書面語(yǔ)中不使用。
例:
(5) [요]친구가 꽤 까부는데(口語(yǔ))
[이/*요]작가는 고전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書面語(yǔ))
(6) [조런]놈은 그냥 두면 안돼(口語(yǔ))
[저러한/*조러한] 사태를 그냥 그대로 방치해 둘 것인가?(書面語(yǔ))
4.관용어
慣用詞
관용어란, 두 개 이상의 낱말로 구성된 말이면서 한 개의 낱말처럼 사용되는 단어로써 낱말의 고유한 의미의 총화가 아니라 제삼의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는 비격식적 표현인 ‘‘익은말’’을 가리킨다. 글말에서도 관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더러 있지만, 대체로 일반적인 표현으로 바뀌어 사용된다.
慣用詞是把兩個(gè)或兩個(gè)以上單詞組合成一個(gè)單詞,但是不使用其組合意義,而是使用另外的引申義,也叫做“熟語(yǔ)”。在書面語(yǔ)中慣用語(yǔ)雖然也使用,但是一般會(huì)轉(zhuǎn)化為一般詞匯后再使用。
(1) 강 사장은 고용 사장이기 때문에 [바지 저고리]야.(口語(yǔ))
강 사장은 고용 사장이므로, [실권이 없는 사람]이다.(書面語(yǔ))
(2) 자동차가 고장나면, 곧 [손을 보]아야 해.(口語(yǔ))
자동차가 고장나면, 즉시 [수리를 하]여야 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손이 크다, 입을 맞추다, 입이 짧다, 귀가 엷다, 치맛바람, 애먹다, 입이 싸다...’等詞。
5.비속어
俗語(yǔ)
비속어란 말씨의 순수함과 고상함을 더럽히는 저속하고, 상스러운 비천한 비격식적 단어인 ‘‘낮은말’’을 가리킨다.
俗語(yǔ)是指將純樸高雅的詞匯變得低俗粗鄙時(shí)所使用的非格式詞匯“卑語(yǔ)”。
(3) 그이가[뒈지]고 나서 세상이 많이 달라졌어.(口語(yǔ))
그이가[죽]고 나서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書面語(yǔ))
(4) 남의 돈을 몰래[꼬불치]면 안되지.(口語(yǔ))
남의 돈을 몰래[훔치]면 안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낯짝, 대갈통, 대가리, 마빡, 상판때기, 모가지...’等詞。
6.은밀어
隱語(yǔ)
은밀어란 어떤 특수한 사회적 집단이나 사회적 계층의 구성원들이 자기들끼리의 결속을 위해 남이 모르게 쓰는 일시적이고 비표준적이며 비격식적인 단어나 표현인 ‘‘변말’’을 가리킨다. 은밀어는 글말에서 일반적인 표현으로 바뀌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隱語(yǔ)是在特定的社會(huì)團(tuán)體中為了團(tuán)結(jié)成員,在團(tuán)體內(nèi)部使用的外人不知道的臨時(shí)的非標(biāo)準(zhǔn)式的詞匯。隱語(yǔ)在書面中會(huì)轉(zhuǎn)化為一般詞匯使用。
(5) 박 의원은 간통 사건으로 [빵깐]에 들어갔어.(口語(yǔ))
박 의원은 간통 사건으로 [교도소]에 들어갔다.(書面語(yǔ))
(6) 선생은 누구나 학생을 [조지]면 안되지.(口語(yǔ))
선생은 누구나 학생을 [때리]면 안된다.(書面語(yǔ))
除此之外,還有‘물 좋다, 콩밥 먹다, 은팔찌, 영계, 짭새, 킹카, 캡...’等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