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實用韓語詞類概論輔導(dǎo)(13)

字號:

3.不規(guī)則動詞
    韓國語動詞在活用時,原則上此干部發(fā)生變化,但是有一部分動詞的詞干發(fā)生脫落或更換的現(xiàn)象,這一部分動詞叫做不規(guī)則動詞,也叫動詞的不規(guī)則活用。
    1)“ㅂ”的不規(guī)則活用
    韓國語部分動詞詞干的收音“ㅂ”與元音相連時,“ㅂ”被脫落后再添加“ㅜ”。如:
    눕다(躺)-- 누워서, 누우니, 누웠다.
    굽다(烤)-- 구워서, 구우니, 구웠다.
    줍다(撿)-- 주워서, 주우니, 주웠다.
    그는 자기 전에 침대에 누워서 책을 보았다.
    他臨睡前躺在床上看了一會兒書。
    따뜻한 방에 누우니 잠이 온다.
    躺在暖和的炕上有點困了。
    빵집에서 구운 빵 냄새가 풍겨온다
    面包店里飄來了面包的香味。
    오징어를 구워서 안주로 하였다.
    烤了魷魚當(dāng)成下酒菜了。
    나는 땅에 떨어진 연필을 주워서 필통에 넣었다.
    我撿起掉在地上的鉛筆放在文具盒里了。
    이것 저것 주워 먹었더니 밥 맛이 없다.
    吃了這個那個一點食欲都沒有。
    “돕다”屬于特例,后接元音“ㅏ”時,“ㅂ”脫落再添加“ㅗ”。如:
    돕다(幫助)—도와서, 도왔다, 도와주다
    但是,“돕다”詞干后面接其他原因時,不加“ㅗ” ,而加“ㅜ”。如:
    도우면, 도우니.
    손자는 할아버지를 도와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孫子正在幫著爺爺干活。
    나는 그와 서로도우며 공부를 합니다。
    我和他互相幫著學(xué)習(xí)。
    但也有“ㅂ”收音的位次不發(fā)生變化。如:
    입다(穿),
    업다(背),
    잡다(抓),
    집다(夾),
    접다(折),
    뽑다(拔),
    씹다(嚼),
    깁다(縫補)
    북경에서는 아기를 업은 사람을 볼 수 없어요。
    在北京看不到背孩子的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