究竟是에요還是예요?
韓國(guó)門戶網(wǎng)站上這個(gè)問題的提問者居然大多還是韓國(guó)人(難怪韓國(guó)人老說IK好難= =),各種形形色色的理解之中,究竟哪種講法才是對(duì)的呢?為此滬江韓語(yǔ)的小編特地去韓國(guó)國(guó)立國(guó)語(yǔ)院的查找了相關(guān)資料,得到了以下答案:
1.‘에요'는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며, 설명ㆍ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예요'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에 ‘에요'가 붙은 ‘이에요'가 줄어든 형태입니다.
1.‘에요'加在‘이다'或者‘아니다'的詞干后,在“해요”句法中表示說明、疑問的意思,是一個(gè)終結(jié)詞尾?!?#50696;요'是敘述格助詞詞干‘이-'后加上‘에요',并從‘이에요'縮略而得。
2.‘-이에요'는 ‘이다'의 어간 뒤에 ‘-에요', 붙은 말로 표준어 규정 26항에서 복수 표준어로 삼은 말입니다. ‘-이에요'는 체언 뒤에 붙는데 받침이 없는 체언에 붙을 때는 줄어들어서 ‘-예요'. 따라서 ‘공범자이에요→공범자예요'가 모두 가능합니다. 그러나 줄어들기 전의 형태보다 실제로는 줄어든 형태로 많이 쓰입니다.
2.-이에요'是‘이다'的詞干后加上‘-에요'的話,根據(jù)標(biāo)準(zhǔn)語(yǔ)(普通話)規(guī)定第26項(xiàng),視為復(fù)數(shù)標(biāo)準(zhǔn)語(yǔ)?!?이에요'加在體言(在助詞的幫助下構(gòu)成句子主體的單詞,一般為名詞和代名詞)后,在沒有收音的體言后分別縮寫為‘-예요'。因此,‘공범자이에요→공범자예요',這些是可以的。但在實(shí)際運(yùn)用中,縮略語(yǔ)比沒有縮略用得多。
3.한편 ‘-에요'가 연필처럼 받침 있는 말과 결합할 때는 ‘연필' 뒤에 붙은 ‘연필이에요'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또한 인명일 경우, 받침이 있을 때에는 ‘-이'가 덧붙으므로(영숙→영숙이) 받침이 없는 체언과 같아져서 ‘영숙이이에요'가 되고 이것이 줄어들면 각각 ‘영숙이예요'가 됩니다.3.‘-에요'和‘-여요'在說和“연필”這種有收音的單詞相結(jié)合時(shí),‘연필이에요'不能縮寫。此外,在說人名時(shí),有收音時(shí)要多加一個(gè)‘-이', (영숙→영숙이),之后再和沒有收音的體言一樣,‘영숙이이에요',這句可以縮略為‘영숙이예요'。
또한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이에요'가 결합하지 않고 어미인 ‘-에요'만 결합하여 ‘아니에요'가 됩니다. 이들은 ‘아녜요'로 줄어들며 흔히 ‘아니예요'를 쓰는 일이 있지만 이는 잘못입니다.
另外,‘아니다'作為謂詞,不能與‘-이에요'結(jié)合,只能和語(yǔ)尾‘-에요'相結(jié)合,變?yōu)椤?#50500;니에요',它能縮寫為‘아녜요',偶爾會(huì)有人寫‘아니예요',這是不對(duì)的。
韓國(guó)門戶網(wǎng)站上這個(gè)問題的提問者居然大多還是韓國(guó)人(難怪韓國(guó)人老說IK好難= =),各種形形色色的理解之中,究竟哪種講法才是對(duì)的呢?為此滬江韓語(yǔ)的小編特地去韓國(guó)國(guó)立國(guó)語(yǔ)院的查找了相關(guān)資料,得到了以下答案:
1.‘에요'는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며, 설명ㆍ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예요'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에 ‘에요'가 붙은 ‘이에요'가 줄어든 형태입니다.
1.‘에요'加在‘이다'或者‘아니다'的詞干后,在“해요”句法中表示說明、疑問的意思,是一個(gè)終結(jié)詞尾?!?#50696;요'是敘述格助詞詞干‘이-'后加上‘에요',并從‘이에요'縮略而得。
2.‘-이에요'는 ‘이다'의 어간 뒤에 ‘-에요', 붙은 말로 표준어 규정 26항에서 복수 표준어로 삼은 말입니다. ‘-이에요'는 체언 뒤에 붙는데 받침이 없는 체언에 붙을 때는 줄어들어서 ‘-예요'. 따라서 ‘공범자이에요→공범자예요'가 모두 가능합니다. 그러나 줄어들기 전의 형태보다 실제로는 줄어든 형태로 많이 쓰입니다.
2.-이에요'是‘이다'的詞干后加上‘-에요'的話,根據(jù)標(biāo)準(zhǔn)語(yǔ)(普通話)規(guī)定第26項(xiàng),視為復(fù)數(shù)標(biāo)準(zhǔn)語(yǔ)?!?이에요'加在體言(在助詞的幫助下構(gòu)成句子主體的單詞,一般為名詞和代名詞)后,在沒有收音的體言后分別縮寫為‘-예요'。因此,‘공범자이에요→공범자예요',這些是可以的。但在實(shí)際運(yùn)用中,縮略語(yǔ)比沒有縮略用得多。
3.한편 ‘-에요'가 연필처럼 받침 있는 말과 결합할 때는 ‘연필' 뒤에 붙은 ‘연필이에요'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또한 인명일 경우, 받침이 있을 때에는 ‘-이'가 덧붙으므로(영숙→영숙이) 받침이 없는 체언과 같아져서 ‘영숙이이에요'가 되고 이것이 줄어들면 각각 ‘영숙이예요'가 됩니다.3.‘-에요'和‘-여요'在說和“연필”這種有收音的單詞相結(jié)合時(shí),‘연필이에요'不能縮寫。此外,在說人名時(shí),有收音時(shí)要多加一個(gè)‘-이', (영숙→영숙이),之后再和沒有收音的體言一樣,‘영숙이이에요',這句可以縮略為‘영숙이예요'。
또한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이에요'가 결합하지 않고 어미인 ‘-에요'만 결합하여 ‘아니에요'가 됩니다. 이들은 ‘아녜요'로 줄어들며 흔히 ‘아니예요'를 쓰는 일이 있지만 이는 잘못입니다.
另外,‘아니다'作為謂詞,不能與‘-이에요'結(jié)合,只能和語(yǔ)尾‘-에요'相結(jié)合,變?yōu)椤?#50500;니에요',它能縮寫為‘아녜요',偶爾會(huì)有人寫‘아니예요',這是不對(duì)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