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概說
定義 用于謂詞(或體詞謂詞形)的末尾,表示該謂語與后面謂語、該分句與后面分句的關系的詞尾叫接續(xù)詞尾。
二、接續(xù)詞尾的意義和用法
(-)表示并列
1、고
1)表示并列關系
(1)并列與同一對象有關的兩個以上的動作或狀態(tài),相當于漢語的“又…又…”、“…和…”、“…而…”等。如:
우리는 학습도 하고 노동도 한다. 我們又學習又勞動。
사과가 붉고 크다. 蘋果又紅又大。
(2)并列兩個以上不同對象的動作或狀態(tài)。這種情況,漢語常用并列復句來表示。如:
이번 주일 체육활동시간에는 우리 반은 운동장에서 농구를 하고 2반은 체육관에서 탁구훈련을 합니다.這一周體育活動時間我們班在操場打籃球,二班在體育館里練乒乓球。
나는 대학생이고 그는 대학원생이다. 我是大學生,他是研究生。
我國山也好,水也好。
(3)用于動詞,表示并列兩個以上相互交替,輪番進行的動作(這時常用“…고…고 하다”這形式)。如:
갈매기들이 바다우를 날아가고 날아오고 한다.海鷗在海面上飛來飛去。
온도가 오르고 내리고 하더니 싹이 잘 트지 못했다.
溫度忽高忽低,影響了發(fā)芽。
자동차들이 달려오고 달려간다. 汽車來來去去奔馳著。
(4)并列反復使用的同一個謂詞,表示同一個動作反復進行,或強調某一狀態(tài)程度之深。如:
배우고 배우고 또 배우자! 學習、學習、再學習!
그는 어머님의 편지를 읽고 또 읽었다. 他把母親的信讀了又讀。
나는 나의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對于我的未來,我是想了又想。
높고 높은 산이 바다가에 우뚝 솟아 있다. 高高的山聳立在海邊。
기차는 넓고 넓은 벌판을 달리고 또 달린다. 火車奔馳在廣闊的原野上。
*由形容詞構成的“높고높다”中“고”也可換成“디”,表示相同的意義。如“높디높다,넓디넓다,짧디짧다”等。
2)用于動詞,表示某一主體的兩動作,一前一后的發(fā)生。漢語常用“…了…”、“…之后…”這形式來表示。這時它前面不能加時制詞尾。如:
저녁을 먹고 가시오. 吃了晚飯走吧。
문을 닫고 들어오너라. 關了門進來吧。
그는 불을 끄고 자리에 누웠다. 他熄燈躺了下來。
3)用于動詞,表示前一行動是后一行動的情態(tài)。漢語常用“…著…”這種形式來表示。這時,它前面也不能加時制詞尾。如:
손님들은 버스를 타고 왔다. 客人們坐著公共汽車來了。
비가 오는데 우산을 들고 가시오. 下雨了,打著傘去吧。
“지 않다”表示情態(tài)時,也用“고”連接。如:
그는 잠도 자지 않고 계속 공부했다. 他覺也不睡,繼續(xù)學習。
그는 까닥하지도 않고
거기에 앉아 있다. 他一動不動地坐在那兒。
4)用于動詞,表示兩動作先后發(fā)生,前一動作又是引起后一動作的原因、根據。這時,它前面也不加時制詞尾。如:
나도 그가 일하는 솜씨를 보고 여간 놀라지 않았다.
我看到了他干活的技巧,也大為吃驚。
나는 선생을 믿고 여기까지 찾아왔어요.我相信先生你,到這兒找你來了。
그렇게 먹고 병에 안 걸릴리 있나?那樣吃,還不得病?
5)連接兩個相反意義的詞,表示并列兩個相反的事實,兩者擇一。這時漢語常用連詞“…或(或者)…”、“是…還是…”來表示。如:
가고 안가는 것은 아직까지도 미정이요.
去,還是不去,現在也還沒有決定。
일이 잘 되고 못되는 것은 선생의 노력여하에 달렸어요.
事情能否成功,決定于你的努力如何。
길고 짧은 것은 대여봐야 알지. 是長是短,量了才知道。
옳고 그른 것은 실천속에서 검증된다. 是對是錯,要在實踐中檢驗。
6)表示包含,即兩個以上的事實中任何一個事實都不影響另一個事實。相當于漢語的“不管…還是…”。如:
많고 적고 주는대로 받아 오너라. 不管是多是少,給多少你就拿來。
한번 교양해서 안되면 열번이고 스무번이고 계속 교양해야 한다.
教育一次不行,就應繼續(xù)教育,不管是十次,還是二十次。
집에서고 학교에서고 열심히 학습했다.
不管是在家,還是在學校,都很用心地學習。
有時,在最后一個“고”后還可加“간에”。如:
비가 오고 눈이 오고간에 떠나야 한다.不管是下雨,還是下雪,都得出發(fā)。
這種用法的“고”可以換成“든지(든),나”等表示。
7)并列前后兩件事實,表示盡管存在前一事實,但卻出現與此相反的后一事實。相當于漢語的“…了,可是…”。這時,“고”后往往附加添意詞尾“도”。如:
보고도 못 본체한다. 看見了裝作沒看見。
듣고도 못 들은체한다. 聽見了裝沒聽見
定義 用于謂詞(或體詞謂詞形)的末尾,表示該謂語與后面謂語、該分句與后面分句的關系的詞尾叫接續(xù)詞尾。
二、接續(xù)詞尾的意義和用法
(-)表示并列
1、고
1)表示并列關系
(1)并列與同一對象有關的兩個以上的動作或狀態(tài),相當于漢語的“又…又…”、“…和…”、“…而…”等。如:
우리는 학습도 하고 노동도 한다. 我們又學習又勞動。
사과가 붉고 크다. 蘋果又紅又大。
(2)并列兩個以上不同對象的動作或狀態(tài)。這種情況,漢語常用并列復句來表示。如:
이번 주일 체육활동시간에는 우리 반은 운동장에서 농구를 하고 2반은 체육관에서 탁구훈련을 합니다.這一周體育活動時間我們班在操場打籃球,二班在體育館里練乒乓球。
나는 대학생이고 그는 대학원생이다. 我是大學生,他是研究生。
我國山也好,水也好。
(3)用于動詞,表示并列兩個以上相互交替,輪番進行的動作(這時常用“…고…고 하다”這形式)。如:
갈매기들이 바다우를 날아가고 날아오고 한다.海鷗在海面上飛來飛去。
온도가 오르고 내리고 하더니 싹이 잘 트지 못했다.
溫度忽高忽低,影響了發(fā)芽。
자동차들이 달려오고 달려간다. 汽車來來去去奔馳著。
(4)并列反復使用的同一個謂詞,表示同一個動作反復進行,或強調某一狀態(tài)程度之深。如:
배우고 배우고 또 배우자! 學習、學習、再學習!
그는 어머님의 편지를 읽고 또 읽었다. 他把母親的信讀了又讀。
나는 나의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對于我的未來,我是想了又想。
높고 높은 산이 바다가에 우뚝 솟아 있다. 高高的山聳立在海邊。
기차는 넓고 넓은 벌판을 달리고 또 달린다. 火車奔馳在廣闊的原野上。
*由形容詞構成的“높고높다”中“고”也可換成“디”,表示相同的意義。如“높디높다,넓디넓다,짧디짧다”等。
2)用于動詞,表示某一主體的兩動作,一前一后的發(fā)生。漢語常用“…了…”、“…之后…”這形式來表示。這時它前面不能加時制詞尾。如:
저녁을 먹고 가시오. 吃了晚飯走吧。
문을 닫고 들어오너라. 關了門進來吧。
그는 불을 끄고 자리에 누웠다. 他熄燈躺了下來。
3)用于動詞,表示前一行動是后一行動的情態(tài)。漢語常用“…著…”這種形式來表示。這時,它前面也不能加時制詞尾。如:
손님들은 버스를 타고 왔다. 客人們坐著公共汽車來了。
비가 오는데 우산을 들고 가시오. 下雨了,打著傘去吧。
“지 않다”表示情態(tài)時,也用“고”連接。如:
그는 잠도 자지 않고 계속 공부했다. 他覺也不睡,繼續(xù)學習。
그는 까닥하지도 않고
거기에 앉아 있다. 他一動不動地坐在那兒。
4)用于動詞,表示兩動作先后發(fā)生,前一動作又是引起后一動作的原因、根據。這時,它前面也不加時制詞尾。如:
나도 그가 일하는 솜씨를 보고 여간 놀라지 않았다.
我看到了他干活的技巧,也大為吃驚。
나는 선생을 믿고 여기까지 찾아왔어요.我相信先生你,到這兒找你來了。
그렇게 먹고 병에 안 걸릴리 있나?那樣吃,還不得病?
5)連接兩個相反意義的詞,表示并列兩個相反的事實,兩者擇一。這時漢語常用連詞“…或(或者)…”、“是…還是…”來表示。如:
가고 안가는 것은 아직까지도 미정이요.
去,還是不去,現在也還沒有決定。
일이 잘 되고 못되는 것은 선생의 노력여하에 달렸어요.
事情能否成功,決定于你的努力如何。
길고 짧은 것은 대여봐야 알지. 是長是短,量了才知道。
옳고 그른 것은 실천속에서 검증된다. 是對是錯,要在實踐中檢驗。
6)表示包含,即兩個以上的事實中任何一個事實都不影響另一個事實。相當于漢語的“不管…還是…”。如:
많고 적고 주는대로 받아 오너라. 不管是多是少,給多少你就拿來。
한번 교양해서 안되면 열번이고 스무번이고 계속 교양해야 한다.
教育一次不行,就應繼續(xù)教育,不管是十次,還是二十次。
집에서고 학교에서고 열심히 학습했다.
不管是在家,還是在學校,都很用心地學習。
有時,在最后一個“고”后還可加“간에”。如:
비가 오고 눈이 오고간에 떠나야 한다.不管是下雨,還是下雪,都得出發(fā)。
這種用法的“고”可以換成“든지(든),나”等表示。
7)并列前后兩件事實,表示盡管存在前一事實,但卻出現與此相反的后一事實。相當于漢語的“…了,可是…”。這時,“고”后往往附加添意詞尾“도”。如:
보고도 못 본체한다. 看見了裝作沒看見。
듣고도 못 들은체한다. 聽見了裝沒聽見